S.S.G

코스피, 코스닥의 차이 본문

주식/주식공부

코스피, 코스닥의 차이

자유로운개발 2023. 8. 22. 17:37
반응형

대학생, 청소년 등의 젊은층들 사이에서도 재테크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어요.

재테크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남녀노소 구분 없이 주식 투자의 관심도 뜨거워지고 있죠.

하지만 잘 모르고 접근했다가는 큰 손실로 모아두었던 소중한 돈을 빠르게 잃을 수도 있는 것이 주식시장이에요. 한번 발 들여놓으면 빠져나가기 쉽지가 않은 주식! 기초부터 하나씩 알아가면서 주식 거래 준비를 해보아요.

주식시장에 뛰어들게 되면 코스피, 코스닥을 듣게 될 거에요. 그럼 코스피가 무엇인지? 코스닥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코스피는 유가증권시장본부(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종목들의 주식 가격을 종합적으로 표시한 수치입니다. 사람들이 말하는 주가지수가 어느 정도다 라고 하는 것이 바로 코스피 지수입니다.

코스피 ( 23.08.22 기준 )

 

코스피 구성종목 ( 23.08.22 기준 )

 

잘 알려져 있고 많이 알고 있는 삼성전자, 현대차, 네이버 등의 대기업들이 상장되어 있습니다.시가총액이 높은 종목들이며 변동성이 적어 기업의 가치를 보고 미래 성장을 바라보며 장기적으로 안정적이게 투자하는 투자자들이 많습니다. 그만큼 코스피 상장 조건은 까다롭습니다.

  1. 자기자본 300억이상
  2. 설립 후 3년이상 경과 & 계속적인 영업활동
  3. 상장주식수 100만주 이상
  4. 매출액 최근 1,000억원 이상 및 3년 평균 700억 이상

( 참고 : Listing | 주권상장 | 유가증권 상장 | 신규상장 | 상장요건 (krx.co.kr) )

상장 조건이 까다롭기 때문에 매출이 큰 대기업이나 중견기업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코스닥은 중소기업 또는 벤처기업 중심의 자본증권시장입니다. 첨단벤처기업 중심 시장인 미국의 나스닥 시장을 본떠 만든 것입니다.

코스닥 ( 23.08.22 기준 )

 

코스닥 구성종목 ( 23.08.22 기준 )

최근 정말 뜨거웠던 에코프로, 포스코그룹주 등이 있습니다. 코스피에 비하면 시가총액이 작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만큼 적은 돈으로도 움직일 수 있어 변동성이 크기도 합니다. (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

스피보다는 상대적으로 상장요건이 완화되어 있습니다.

  1. 자기자본 30억 이상
  2. 소액주주 500명 이상
  3. 매출액 50억원 이상

* 일반기업(벤처 포함)과 기술성장기업에 따라 조금의 차이가 있음.

( 참고 : Listing | 주권상장 | 코스닥시장 상장 | 상장요건 (krx.co.kr) )

대형주 위주로 안정적이게 투자를 원하는 투자자는 코스피를, 변동성이 크지만 종목과 기업 정보를 잘 알고 대응을 잘 할 수 있는 투자자는 코스닥 거래를 하곤 합니다. 투자자의 투자방식과 생각 모두 다르기 때문에 거래를 여러 번 하면서 경험을 쌓으며 본인만의 스타일을 찾으면 좋은 투자자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오늘은 코스피와 코스닥의 차이를 알아보았는데요, 다음엔 또 다른 기초 정보를 가지고 돌아오겠습니다.

 

반응형

'주식 >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PER, PBR, ROE 뜻 주식용어  (0) 2023.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