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G
PER, PBR, ROE 뜻 주식용어 본문
오늘은 PER( 주가수익비율 ), PBR( 주가순자산비율 ), ROE( 자기자본이익률 ) 용어에 대해 공부해보겠습니다.
특히 PER, PBR은 저평가 주가를 분석할 때 도움이 됩니다.
모르면 어렵지만 알면 의외로 간단한 주식용어 쉽고 간단하게 설명한 내용 발견하여 공유드립니다.
예시만 보셔도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1. ROE( 자기자본이익률 )
=> 기업이 자기자본(주주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경영효 율성을 나타냅니다. ROE가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에 비해 당기순이익을 많이 내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했다는 의미입니다.
예) 자본 10억으로 회사를 창업하고, 이익이 1억이 발생했다.
10억으로 창업하여 1억을 벌었으므로 수익률은 10%입니다.
이것이 ROE = 10 입니다.
2. PBR( 주가순자산비율 )
=> 기업의 재무상태면에서 주가를 판단하는 지표. 주가가 한 주당 몇 배로 매매되고 있는지를 측정한 값입니다.
1보다 작으면 회사의 자산 가치가 저평가 되었다는 의미입니다.
예) 자본 10억으로 만든 회사를 주식 상장하여 주식으로 판매하려고하니 회사 총 주식가격이 20억으로 평가받았다. 회사 창업 비용보다 회사 가치를 두 배 인정 받았으므로 PBR = 2 입니다.
** PBR = 1은 주당순자산과 주가가 동일하므로 기업이 망하여도 투자금은 그대로 회수 가능하고,
1보다 작으면 투자금보다 더 많은 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3. PER( 주가수익비율 )
=> 주가가 그 회사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가를 나태내는 지표로, 주가를 1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것입니다.
코스피 시장에서는 PER 10배를 기준으로 고평가주식과 저평가주식을 나눕니다.
예) 상장한 회사가 1억씩 이익을 내고 있는 경우, 회사의 총 주식가격 20억을 벌려면 1억씩 20배를 벌어야 합니다. 그럼 PER은 20 입니다.
PER = 10보다 낮고, PBR = 1보다 낮고, ROE = 10 이상이면 좋은 기업이라고 합니다.
종목을 분석할 때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모두 성투하세요!
'주식 >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스피, 코스닥의 차이 (0) | 2023.08.22 |
---|